꿈이냐, 현실이냐 그것이 궁금하다.
안녕하세요. 고이입니다.
오늘 리뷰할 영화는 최근 테넷 개봉으로 논란인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셉션입니다.
인셉션은 2010년 개봉한 영화로 꿈과 무의식을 주제로 하여 사람들의 머리를 나름 아프게 하였습니다.
꿈 속의 꿈이라는 개념도 익숙하지 않았을 뿐더러, 대사로 세계관을 정리하기 때문에 더욱 단순하게 영화를 관람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장면과 상항에 관해 다른 영화들보다 조금은 더 생각을 하면서 봐야 하는 영화가 아닌가 싶습니다.
용어 정리
영화 제목인 '인셉션'은 꿈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무의식 속에 들어가 생각을 심어 넣는 작업을 말합니다. 토브와 그의 팀이 이 영화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인셉션'과 반대되는 '익스트렉션'은 꿈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무의식 속에 들어가 그 사람의 중요한 정보를 빼오는 작업을 말합니다. 인셉션이 고난이도 작업이라면 익스트렉션은 그보다난이도가 낮은 작업이며, 토브의 직업이기도 했습니다.
'토템'은 꿈과 현실을 구분해 줄 수 있는 작은 물건입니다. 물건의 무게와 중심을 통해 현실과 꿈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에도 중력을 사용하여 꿈에서 깨는 작업인 '킥'과 꿈 속에서 죽어 현실로 깨지 못했을 때 깊은 심연의 해변을 일컫는 '림보' 그리고 꿈 속의 세상을 만들어 내는 작업인 '설계"가 있습니다. '설계'는 꿈 꾸는 사람의 무의식에게 들키지 않기 위하여 정교한 미로를 만드는 작업으로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규칙
꿈 속 세상은 상상력을 가지고 만들어야 합니다. 실제 기억을 가지고 꿈 속 세상을 만들 경우, 후에 꿈인지 현실인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꿈 속에서는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꿈에서 죽으면 잠에서 깨지만, 고통을 느끼는 것만으로는 잠에서 깨지 않습니다.
꿈 속의 시간은 현실의 시간과 다릅니다. 현실에서 5분은 꿈 속에서 1시간입니다. 꿈 속에서의 꿈은 일주일, 더 깊은 꿈은 몇 달, 몇 십 년이 되기도 합니다.
특별히 약에 취해 깊은 잠에 빠졌을 경우 죽으면 안 된다. 이 때 죽게 되면 림보에 갇혀 오랜 시간 동안 심연의 해변에서 지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림보에 갇혔던 사람은 토브와 멜 그리고 한 명 더 있는데, 이건 비밀.
토템은 다른 사람이 만져서 안 됩니다. 토템은 자신 고유의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만지게 될 경우, 다른 사람이 자신의 꿈과 현실의 경계를 없앨 수 있게 기회를 주게 되는 것이지요. 실제로도 영화에서 멜과 토브의 관계에서 토템으로 인한 사건이 나오게 됩니다. 다른 사람이 만진다고 하여 토템의 효능이 사라지지는 않지만, 꿈과 현실의 경계를 알 수 있는 유일하게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에 소중하게 간직해야 합니다.
줄거리
다른 사람의 꿈에 들어가 '익스트렉션'을 하는 토브가 상속자의 무의식에 생각을 심어달라는 '인셉션' 의뢰를 받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약사, 도둑, 설계자, 투자자와 팀을 꾸리게 됩니다. '인셉션'을 하기 위해 꿈 속의 꿈에 그리고 그 꿈 속의 꿈에 들어가는 계획을 세우지만, 예상하지 못한 변수들(상속자의 무의식 훈련, 토브의 무의식 멜)이 발생하게 됩니다. 여러가지 임기응변을 통해 의뢰받은 일은 성공하지만, 의뢰자와 토브는 림보에 갇히게 됩니다. 그 이후, 영화는 다시 꿈에서 깬 현실로 돌아오게 되고, 토브는 의뢰자에게 약속받은 대로 무사히 미국에 돌아가게 됩니다.
토브가 이 의뢰를 제안받은 이유와 토브의 무의식 속 멜 등 그리고 상속자에게 어떤 생각을 심었는지는 여기서 말하지 않겠습니다. 영화를 보시지 않았더라면, 직접 영화를 보는 걸 추천합니다!
결말 해석
영화가 개봉한 후, 결말에 대한 논란이 꽤나 오랫동안 유지됐습니다. '토브는 아직 꿈 속에 있다. 아니다, 현실에 있다.' 이러한 논란이 생긴 이유는 팽이가 완전히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영화가 끝나버렸기 때문입니다.
감독은 이러한 논란이 답답했는지 자신이 직접 결말은 현실이라고 인터뷰를 통해 말했습니다. 감독판을 보면 팽이가 쓰러지는 거 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감독의 명료한 답을 내놓자 논란은 사라졌지만, 그렇다면 이게 왜 현실이냐에 관한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제일 단순하게는 팽이의 중심이 무너졌기 때문이라는 주장입니다. 영화가 끝나기 직전까지 유심히 보면 팽이의 중심이 흔들리는 모습을 관객은 눈치챌 수 있습니다. 팽이는 중심이 무너지면 무조건 쓰러져 있게 돼 있습니다. 토브가 꿈 속에서 돌린 팽이는 한 번도 중심을 잃거나,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습니다.
두 번째로 로브의 토템은 팽이가 아니라 반지라는 주장입니다. 가장 그럴듯하지 않은 주장이긴 합니다. 영화 속에 어디에도 토브의 토템이 반지라고 유추할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지가 손에 있다 없는 건 단순히 촬영 때의 조그만한 옥의 티가 아닐까 추측합니다.
결말이 현실이냐, 꿈이냐는 토템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토템이 중요한 게 아니다, 토브가 아이들의 얼굴을 보고 실제 만났기 때문에 현실이다.'라는 주장입니다. 토브의 꿈 속에는 아이들의 뒷모습만 나옵니다. 멜과 림보에 갇혀있을 때 조차 토브가 고개를 돌리며 아이들의 얼굴을 보지 않습니다. 보지 못한다는 표현이 맞겠군요. 토브는 집에서 도망쳐 나올 때 아이들의 얼굴을 보고 나오지 못했기 때문에 토브의 꿈에는 아이들의 뒷모습까지밖에 나올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결말에 토브는 아이들의 얼굴을 볼 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안고 실제로 만납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의 뒷모습만 볼 수 있는 꿈 속이 아닌 현실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놀란 감독이 결말은 현실이다라고 인터뷰에서 밝히긴 했지만 애초에 놀란 감독은 해피엔딩을 좋아합니다. 그의 모든 작품이 해피엔딩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작품에서 놀란 감독은 희망을 보여줍니다. 인류애를 가지고 있는 감독의 영화 성향으로 봤을 때 인셉션 또한 토브가 아이들을 만나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게 더 적합한 추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덧붙이자면, 영화의 흐름상 토브가 무의식 속에 있는 멜에게서 벗어나며 성장하기도 하니까 말이죠.
+ 영화가 끝나고 모두가 결말에 충격에 빠졌을 때 나오는 노래가 인상적입니다. 영화에서 '킥' 직전에 흘러나오는Edith Piafh - Non, je ne regrette rien 입니다. '관객 여러분, 이제 영화라는 꿈에서 빠져 나올 시간입니다'라고 감독이 음악을 통해 말하는 것 같네요. 그럼 저도 이만
총총
'영화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리뷰 - 아비정전] 흘러간 시간 속의 부유 / 줄거리 결말 뜻 명대사 왕가위 감독 장국영 장만옥 유덕화 양조위 (0) | 2020.09.11 |
---|---|
[영화 리뷰] 좀비 아파트에서 살아남기, 살아있다 / 줄거리 결말 유아인 박신혜 넷플릭스 평점 (0) | 2020.09.09 |
[영화 리뷰] 월드 워 Z 줄거리 결말 마르크 포르스터 감독 브래드 피트 주연 좀비 영화 (0) | 2020.09.06 |
[영화 리뷰] 흑인 히어로 영화 블랙팬서 /줄거리 결말 감독 라이언 쿠글러 와칸다 채드웍 보스만 주연 (0) | 2020.09.06 |
[감동적인 영화 추천] 앤 헤서웨이, 로버트 드 니로 주연 영화 인턴 줄거리 및 결말 리뷰 (0) | 2020.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