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영화

[영화 리뷰]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인셉션 / 뜻 용어 규칙 정리 줄거리 결말 해석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조셉 고든 래빗

Goigo 2020. 9. 4. 21:59
반응형

꿈이냐, 현실이냐 그것이 궁금하다. 

 

안녕하세요. 고이입니다. 

오늘 리뷰할 영화는 최근 테넷 개봉으로 논란인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셉션입니다. 

인셉션은 2010년 개봉한 영화로 꿈과 무의식을 주제로 하여 사람들의 머리를 나름 아프게 하였습니다. 

꿈 속의 꿈이라는 개념도 익숙하지 않았을 뿐더러, 대사로 세계관을 정리하기 때문에 더욱 단순하게 영화를 관람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장면과 상항에 관해 다른 영화들보다 조금은 더 생각을 하면서 봐야 하는 영화가 아닌가 싶습니다. 

 


용어 정리 

영화 제목인 '인셉션'은 꿈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무의식 속에 들어가 생각을 심어 넣는 작업을 말합니다. 토브와 그의 팀이 이 영화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인셉션'과 반대되는 '익스트렉션'은 꿈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무의식 속에 들어가 그 사람의 중요한 정보를 빼오는 작업을 말합니다. 인셉션이 고난이도 작업이라면 익스트렉션은 그보다난이도가 낮은 작업이며, 토브의 직업이기도 했습니다. 

 

'토템'은 꿈과 현실을 구분해 줄 수 있는 작은 물건입니다. 물건의 무게와 중심을 통해 현실과 꿈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에도 중력을 사용하여 꿈에서 깨는 작업인 '킥'과 꿈 속에서 죽어 현실로 깨지 못했을 때 깊은 심연의 해변을 일컫는 '림보' 그리고 꿈 속의 세상을 만들어 내는 작업인 '설계"가 있습니다. '설계'는 꿈 꾸는 사람의 무의식에게 들키지 않기 위하여 정교한 미로를 만드는 작업으로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규칙 

꿈 속 세상은 상상력을 가지고 만들어야 합니다. 실제 기억을 가지고 꿈 속 세상을 만들 경우, 후에 꿈인지 현실인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꿈 속에서는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꿈에서 죽으면 잠에서 깨지만, 고통을 느끼는 것만으로는 잠에서 깨지 않습니다.

 

꿈 속의 시간은 현실의 시간과 다릅니다. 현실에서 5분은 꿈 속에서 1시간입니다. 꿈 속에서의 꿈은 일주일, 더 깊은 꿈은 몇 달, 몇 십 년이 되기도 합니다. 

 

특별히 약에 취해 깊은 잠에 빠졌을 경우 죽으면 안 된다. 이 때 죽게 되면 림보에 갇혀 오랜 시간 동안 심연의 해변에서 지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림보에 갇혔던 사람은 토브와 멜 그리고 한 명 더 있는데, 이건 비밀. 

 

토템은 다른 사람이 만져서 안 됩니다. 토템은 자신 고유의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만지게 될 경우, 다른 사람이 자신의 꿈과 현실의 경계를 없앨 수 있게 기회를 주게 되는 것이지요. 실제로도 영화에서 멜과 토브의 관계에서 토템으로 인한 사건이 나오게 됩니다. 다른 사람이 만진다고 하여 토템의 효능이 사라지지는 않지만, 꿈과 현실의 경계를 알 수 있는 유일하게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에 소중하게 간직해야 합니다. 

 


줄거리

다른 사람의 꿈에 들어가 '익스트렉션'을 하는 토브가 상속자의 무의식에 생각을 심어달라는 '인셉션' 의뢰를 받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약사, 도둑, 설계자, 투자자와 팀을 꾸리게 됩니다. '인셉션'을 하기 위해 꿈 속의 꿈에 그리고 그 꿈 속의 꿈에 들어가는 계획을 세우지만, 예상하지 못한 변수들(상속자의 무의식 훈련, 토브의 무의식 멜)이 발생하게 됩니다. 여러가지 임기응변을 통해 의뢰받은 일은 성공하지만, 의뢰자와 토브는 림보에 갇히게 됩니다. 그 이후, 영화는 다시 꿈에서 깬 현실로 돌아오게 되고, 토브는 의뢰자에게 약속받은 대로 무사히 미국에 돌아가게 됩니다. 

 

토브가 이 의뢰를 제안받은 이유와 토브의 무의식 속 멜 등 그리고 상속자에게 어떤 생각을 심었는지는 여기서 말하지 않겠습니다. 영화를 보시지 않았더라면, 직접 영화를 보는 걸 추천합니다! 

 


결말 해석

영화가 개봉한 후, 결말에 대한 논란이 꽤나 오랫동안 유지됐습니다. '토브는 아직 꿈 속에 있다. 아니다, 현실에 있다.' 이러한 논란이 생긴 이유는 팽이가 완전히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영화가 끝나버렸기 때문입니다. 

 

감독은 이러한 논란이 답답했는지 자신이 직접 결말은 현실이라고 인터뷰를 통해 말했습니다. 감독판을 보면 팽이가 쓰러지는 거 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감독의 명료한 답을 내놓자 논란은 사라졌지만, 그렇다면 이게 왜 현실이냐에 관한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제일 단순하게는 팽이의 중심이 무너졌기 때문이라는 주장입니다. 영화가 끝나기 직전까지 유심히 보면 팽이의 중심이 흔들리는 모습을 관객은 눈치챌 수 있습니다. 팽이는 중심이 무너지면 무조건 쓰러져 있게 돼 있습니다. 토브가 꿈 속에서 돌린 팽이는 한 번도 중심을 잃거나,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습니다. 

 

두 번째로 로브의 토템은 팽이가 아니라 반지라는 주장입니다. 가장 그럴듯하지 않은 주장이긴 합니다. 영화 속에 어디에도 토브의 토템이 반지라고 유추할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지가 손에 있다 없는 건 단순히 촬영 때의 조그만한 옥의 티가 아닐까 추측합니다. 

 

결말이 현실이냐, 꿈이냐는 토템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토템이 중요한 게 아니다, 토브가 아이들의 얼굴을 보고 실제 만났기 때문에 현실이다.'라는 주장입니다. 토브의 꿈 속에는 아이들의 뒷모습만 나옵니다. 멜과 림보에 갇혀있을 때 조차 토브가 고개를 돌리며 아이들의 얼굴을 보지 않습니다. 보지 못한다는 표현이 맞겠군요. 토브는 집에서 도망쳐 나올 때 아이들의 얼굴을 보고 나오지 못했기 때문에 토브의 꿈에는 아이들의 뒷모습까지밖에 나올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결말에 토브는 아이들의 얼굴을 볼 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안고 실제로 만납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의 뒷모습만 볼 수 있는 꿈 속이 아닌 현실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놀란 감독이 결말은 현실이다라고 인터뷰에서 밝히긴 했지만 애초에 놀란 감독은 해피엔딩을 좋아합니다. 그의 모든 작품이 해피엔딩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작품에서 놀란 감독은 희망을 보여줍니다. 인류애를 가지고 있는 감독의 영화 성향으로 봤을 때 인셉션 또한 토브가 아이들을 만나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게 더 적합한 추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덧붙이자면, 영화의 흐름상 토브가 무의식 속에 있는 멜에게서 벗어나며 성장하기도 하니까 말이죠. 

 

+ 영화가 끝나고 모두가 결말에 충격에 빠졌을 때 나오는 노래가 인상적입니다. 영화에서 '킥' 직전에 흘러나오는Edith Piafh - Non, je ne regrette rien 입니다. '관객 여러분, 이제 영화라는 꿈에서 빠져 나올 시간입니다'라고 감독이 음악을 통해 말하는 것 같네요. 그럼 저도 이만 

 

총총

반응형